* 콤팩트 시티와 압축 도시, 자족형 도시는 모두 동일한 뜻을 갖고 있습니다. 아래 글에선 편의를 위해 콤팩트 시티로 통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콤팩트 시티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는 도시의 확산(스프롤 현상)과 도심 공동화 현상을 억제하기위한 도시 계획 개념 중 하나로 1973년 조지 단치그와 토마스 사티에 의해 처음으로 콤팩트 시티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콤팩트 시티는 기능이 집약되어있는 도시인데, 상업, 주거, 산업지역이 모두 압축되어 있어 교통 제도를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여 좋은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스프롤 현상
스프롤 현상(urban sprawl)은 도심 외곽 지역의 가장자리가 농촌 지역으로 팽창되어 나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도시계획과 무관하게 땅값이 저렴한 지역으로 팽창되면서 예산 낭비, 환경 파괴, 교통사고 증가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합니다.
도심 공동화 현상
도심 공동화 현상(doughnut pattern)은 도시 중심부에 상주인구가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중심부가 비고 그 주위에 상주인구가 많아 도넛같이 생겼다하여 도넛현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위 사진은 대한민국 서울의 2020년 4분기 인구통계입니다. 종로구, 중구, 용산구가 도심 공동화 현상을 겪고있는데요. 도시가 크게 성장하기 전까지는 도심에서 상업, 주거, 산업지역이 공존하지만 도시가 크게 성장하여 도시 중심부의 땅값이 비싸지면 주택은 외곽으로 이동하고 비싼 땅값을 부담할 수 있는 상업 시설이 들어오게 되어 상주 인구가 줄어들게 되는겁니다. 도심 공동화 현상이 과도하게 진행 될 경우 지역이 슬럼화되고 재개발이 쉽게 진행되지 않아 치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합니다.
콤팩트시티 장점
- 공공시설 및 교통시설에 접근 편리성 증가
- 적은 에너지 소비
- 대기 오염 물질 배출 감소
- 도심쇠퇴 방지
- 주민간 접촉기회 증가
콤팩트시티 단점
- 교통혼잡 문제
- 높은 밀도로 인해 대기중 오염물질 농도는 증가할 수 있음
- 녹지나 복지시설의 감소
- 혼잡 및 오염 가능성
대표 사례
- 미국 마운틴 뷰 시의 '더 크로싱스 (The Crossings)': 건물의 1층은 점포, 상층부는 오피스와 아파트를 배치함
- 일본의 '롯본기 힐스 (Roppongi Hills)': 보도자의 보행 공간과 차량의 주행 공간이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나무가 단지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