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content
반응형
셔틀외교 뜻과 유래
셔틀(shuttle)은 '오고 가다', '왕복'이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셔틀외교는 중재자 역할을 의미하며 1970년대 초중반 이집트와 시리아, 이스라엘 등 국가들이 갈등을 겪자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이 여러 나라를 오가며 중재자 역할을 한 것을 두고 '셔틀외교'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에도 외교, 정치 영역 전반에서 여러 세력이 갈등할 경우 제 3자가 오가며 중재하는 것을 두고 '셔틀외교'라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한일 셔틀외교
한일 셔틀외교는 지난 2004년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합의하면서 처음으로 시작됐습니다. 두 나라 정상이 상대국을 번갈아 가며 방문해 한일 간 관계를 개선하고 소통을 확대하자는 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한일 셔틀외교는 중단되었고 한일간 관게는 다시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윤석열 대통령이 12년 만에 이를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한일 셔틀외교 문제점
- 한일 양국 사이에 과거사 갈등과 독도 영유권 문제와 같은 현안은 여전히 존재한다.
- 자칫 '퍼주기식 외교'로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
- 한일 관계 개선을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세력이 존재한다.
한일 셔틀외교가 성과를 내려면?
한일 셔틀외교가 성과를 내려면 위 문제점을 주의하고,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요합니다.
- 국민이 체감할 경제협력·문화교류를 발굴해야 한다.
- 기업들의 공동 투자, 연구개발, 마케팅 협업이나 상호 관광객 방문 활성화를 통해 고용을 증대하고 양국 관계 발전에 기여한다.
- 지역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류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