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content
반응형
빙챗 vs 챗GPT
빙챗과 챗GPT는 모두 사용자와 자연어로 대화하며 다양한 질문에 답변할 수 있는 인공지는 챗봇 서비스입니다. 둘 다 GPT 모델을 기반으로 인터넷에 있는 거의 모든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고 재미있고 유익한 대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습니다.
- 빙챗: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개발하였으며 빙 검색 엔진에 내장되어 있는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 챗GPT: 오픈 AI가 개발한 챗봇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함
차이점
- 모델 버전: 빙챗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 AI가 협력하여 개발한 GPT-4 모델을 사용하지만 챗 GPT는 오픈 AI가 공개한 GPT-3모델을 사용합니다. GPT-3는 GPT-4보다 작고 약한 자연어 생성 모델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답변에 있어 빙챗이 챗GPT보다 뛰어납니다.
- 데이터 소스: 빙챗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질문한 내용을 웹 검색 결과를 통해 답변할 수 있지만 챗GPT는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고 자신의 내부 지식을 바탕으로 답변합니다.
- 재구성 여부: 빙챗은 웹 검색 결과를 요약하거나 정리하여 답변이 간결하고 정확하지만 챗GPT는 자신의 지식을 재구성하거나 확장해서 답변하기 때문에 답변이 장황하거나 틀린 부분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출처 제공: 빙챗은 답변에 대한 출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답변의 신뢰도를 파악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 하지만 챗GPT는 자신의 답변에 대한 출처를 제공하지 않아 답변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타당성이 의심될 때가 많습니다.
- 사용 플랫폼: 챗GPT는 웹 사이트, 모바일 앱, 메신저 등에서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지만 빙챗은 엣지 브라우저 외의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없어 사용 편의성이 떨어집니다.
어떤게 더 좋을까?
정보 검색에 있어서는 빙챗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엣지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에도 GPT-4를 무료로 시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 연결, 출처 제공 등의 장점은 정보 검색에 있어 효율을 드라마틱하게 향상시켜줍니다. 하지만 정보검색이 목적이 아닐 경우 보다 재미있고 유익한 답변을 제공하는 챗GPT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빙챗(Bing AI) 대기열 참가방법(신청방법) 총정리
빙챗(Bing AI) 대기열 참가방법(신청방법) 총정리
빙챗(Bing AI) 빙챗은 챗GPT를 기반으로 하고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챗봇입니다. 기존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인 Bing에 AI 챗봇을 탑재하였는데, ChatGPT처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
cheongdam1.com
반응형